티스토리 뷰
서울의 봄 역사적 배경
영화 <서울의 봄>은 일명 '12.12사건'으로 불리는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장군이 주도한 남한의 군사쿠데타를 배경으로 제작되었다. '12.12사건'은 1979년 10월 박정희 대통령 암살 이후 우리나라는 정치적으로 혼란에 빠진 틈을 타 당시 군정보부장이었던 전두환은 이러한 불안을 이용하여 육군참모총장을 체포하고 군권을 장악하는 쿠데타를 일으킨 사건이다. 당시 전두환 장군의 쿠데타에 저항하는 장태완 수도사령관을 포함한 반군 세력이 존재하였지만 9시간이 넘는 대립 끝에 결국 군사 쿠데타가 성공으로 마무리되는 안타까운 역사이다. 영화 전반에 걸쳐 관객은 두 군 지도자가 직면하는 강렬하고 중대한 결정을 목격한다. 장태완 수도사령관은 자신이 수적으로 열세이고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면서도 통제권을 유지하고 정부가 쿠데타 지도자들의 손에 넘어가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싸운다. 이 과정에서 양측의 군인들은 충성심과 의무라는 도덕적 딜레마에 직면하고 목숨을 위협받기도 하며 긴장감 넘치는 장면들이 많이 연출되었다. 이를 통해 당시 국내에 만연했던 불확실성과 공포를 관객들은 크게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결국 성공한 군사 쿠데타를 통해 대한민국의 군사적 통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너무나도 안타깝게도 민주화 운동이 잔혹하게 진압된 결과를 낳게 되었다.
깊은 인상을 준 명대사
영화 <서울의 봄>에서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준 대사가 몇 가지 있었는데, 대표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대사가 있었다.
우선 장태완 장군을 모티브로 이태신 수도방위사령관 역을 수행한 정우성 배우의 대사에는 “대화는 사람끼리 하는 거야” / “내 눈앞에서, 내 조국이 반란군한테 무너지고 있는데, 끝까지 항전하는 군인 하나 없다는 게 그게 군대냐!” 와 같이 반군 세력에 대한 적개심을 들어내는 대사가 있었다. 그리고 전두환 장군을 모티브로 전두광 장군 역을 수행한 황정민 배우의 대사 중에는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아닙니까!” / “우리는 하나다.” 와 같이 군사 쿠데타를 도모하는 세력을 결집시키기 위한 대사가 인상 깊었는데, 관객들의 분노를 크게 사기도 하고 영화 개봉 이후 유머러스하게 해석되어 많은 사람들이 재밌게도 느끼지만 안타깝게도 느끼는 상황입니다.
역사학자가 말하는 영화 속 각색된 내용
영화 속 이태신 장군이 경기도에서 서울로 이동 중인 특수부대의 통행을 막기 위해 행주대교 길목에서 혼자 서 있는 장면은 허구라고 한다. 그렇다면 사실은 무엇이었을까? 당시 장태완 사령관은 해당 시간에 행주대교 근처에 있지 않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전두광 장군이 청와대 앞에서 바리케이드를 쫙 펼치고 수도방위군의 진군을 방어하려는 상황에서 이태신 장군이 바리케이드를 넘어가는 장면은 각색된 부분이라고 합니다. 실제는 본인과 함께 청와대 반군세력을 진압하기 위해 함께 온 군인들에게 이제 더 이상 판을 뒤집기 힘들 것 같다는 이야기를 전달하고서 돌아섰다고 합니다. 실제로도 반군세력을 진압해 보기 위해 노력하지만 영화에서는 더욱 극적인 연출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관객들은 마음을 조리고 해당 장면을 지켜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역사학자들은 어떻게 영화에서 보여준 장면이 실제와 차이가 있다고 알 수 있었을까요? 당시 사건은 모두 도청되고 있었기 때문에 녹음된 자료가 남아 있었다고 합니다. 당시 보안사령관이었던 전두광이 자신의 권력을 이용하여 정보를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쿠데타를 성공할 수 있었다는 것이 역사학자들의 의견입니다.
관람 후기
실제 영화를 관람한 직후 엘리베이터 앞에서 영화관을 나가기 위해 줄을 서는 사람들에게서 '분노'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하나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역사적 배경을 모티브로 한 영화가 다양하게 개봉하고 인상 깊게 영화를 관람한 관객들이 실제 역사적 사건은 어떤지 얼마나 각색이 되었는지 깊이 있기 파고들면 우리가 가진 역사에서 잘못한 것을 반성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 건설적인 대화를 많이 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