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삶의 끝을 준비하는 과정
플랜 75(하야카와 치에 감독)는 일본 정부가 논란의 여지가 있는 프로그램 '플랜 75'를 도입한 근미래 일본을 배경으로 한 실제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디스토피아적 사고를 그려낸 영화다. 국가는 노인의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 젊은 인구가 짊어질 사회적 부담을 덜어내기 위해 만 7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10만 엔(한국 돈으로 약 100만 원)의 지원금을 주거나 인간으로서 전화기 너머 인간 대 인간으로 소통하는 즐거움을 서비스로 제공한다. 그리고 삶의 마지막을 정리할 시간을 마치면 안락사를 통해 스스로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야기는 크게 네 인물을 통해서 전개된다. 1) 외로움과 재정적 어려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78세 여성 미치, 2) 처음에는 프로그램을 단순한 직업으로 보는 Plan 75 세일즈맨 공무원 히로무 3)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시스템에 개입하게 된 필리핀 출신 이주 노동자 간병인 마리아 4) 플랜 75의 콜센터에서 근무하며 안락사 프로그램 지원하는 노인들의 상담 혹은 안락사 프로그램을 선택한 지원자와의 삶을 소통하며 마무리를 도와주는 요코 독립적으로 생활하기 위해 만 78세 노인이지만 호텔리어로 일하던 주인공 미치(Michi)는 같은 고령의 동료가 근무지에서 쓰러지게 되며 고객에게 안 좋은 인식을 심어줄 것을 염려하여 함께 직장에서 해고된다. 새로운 직장을 구하고자 노력하지만 고령의 노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곳을 찾는 것은 쉽지 않았고, 점점 더 고립되어 가는 삶을 직면하며 정부에서 지원하는 만 75세 이상의 노인 안락사 프로그램 ‘플랜 75’에 지원 여부를 크게 고민하게 된다. 끝내 프로그램에 지원한 미치는 정부 프로그램의 상담사로 일하고 있는 요코와 대화하는 많은 시간을 보내며 최근에 느끼지 못했던 사람과의 소통을 통해 삶의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담사와 지원자가 직접 만나면 서로가 안락사 선택을 번복할 수 있기 때문에 금기한 룰을 깨고 함께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마지막 전화 상담을 마친 미치는 전화선도 뽑아가며 집에 남아 있는 자신의 물건을 모두 정리하며 미치의 스토리는 마무리 되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주인공 히로무는 뜻밖의 노인 여성과의 만남과 오랜 시간 연락하지 않고 지냈던 삼촌을 만나게 되는 계기 그리고 사람의 안락사를 처리하는 시설이 동물을 처리하는 시설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며 플랜 75 체제의 도덕성에 의문을 갖기 시작한다. 10년 이상의 시간 동안 만난 적이 없다고는 하나 플랜 75에 본인의 친척인 삼촌이 프로그램에 지원한 사실을 알게 된 히로무는 삼촌이 평소 어떠한 삶을 살고 있는지 궁금해 직접 집을 찾아가게 된다. 근래에 교류한 이력이 없는 친척이라도 히로무는 삼촌을 직접 담당하지 못하게 되고 멀리서 삼촌이 삶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며 마음 아파하게 된다.
영화감독이 배우 캐스팅에 숨겨둔 의도
영화의 주목할만한 요소가 존재합니다. 바로 주인공 중 한 명인 마치를 연기한 바이쇼 치에코입니다. 치에코는 일본 경제 고도의 성장기에 부동의 인기를 누리며 왕성한 활동을 했던 배우가 영화 <플랜 75>에서는 서서히 쇠퇴하고 몰락하는 일본을 상징하는 역할로 등장한다는 점입니다. 실제 비슷한 주제로 후지코 후지오 작가가 1973년도 그려낸 <정년퇴식>이라는 단편 만화가 존재합니다. 여기서는 73세 이상의 노인에게 식량 이외에 국가가 제공하는 모든 사회보장을 중단한다는 이야기를 그려내며 디스토피아적 상황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
영화에서 고령 노인이 삶의 마무리를 독촉하는 것이 젊은 세대로 그려지는데 서로가 함께 도우며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갔으면 하는 서로 다른 세대가 서로의 죽음을 바라고 있다는 보습으로 보인 영화는 안타까운 마음을 자아냅니다. 실제 운영되는 게임의 경우에도 게임이 더 이상 사업을 영위하기 힘들고 서비스를 종료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신규 유저의 유입이 없을 때입니다. 고령화 사회와 함께 저출산이라는 상황을 동시에 직면하여 노인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으로 인해 부담이 커져가는 젊은이들의 삶의 무게 또한 가볍게 요소는 아니겠지만 언젠가 나이 들어 본인도 동일한 입장에 처할 때 씁쓸함이 느껴질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태어나는 것은 선택할 수 없지만 삶의 끝은 스스로가 마무리하고 선택한다는 의미에서 살아가는 나날이 너무 힘든 당사자에게 즐거움을 누려보고 죽음을 통한 평안을 맞이한다는 측면이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바라볼 것은 아니라는 생각도 듭니다. 고령화사회가 되어가며 구조적 변화가 분명히 존재하게 될 것인데, 부족함을 보완할 수 있는 사회로 타인의 삶을 서로가 강요하지는 않아도 되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봅니다.